포스트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정리 (1)

Computer Science /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실기 키워드 기출 40문제 정리 (feat 시나공)

view

키워드 찾기 40문제 정리


  1. 시제품을 끊임없이 제작하며 사이클을 반복하는 개발 방법론으로, 워터폴과 대조적이며, 소프트웨어 개발을 넘어 기업 경영 전반에서 사용되고 있다. 고객의 변화하는 요구사항과 환경 변화에 능동적인 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을 쓰시오.

    답 확인하기

    애자일 (Agile)

  2.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리팩토링(Refactoring)을 하는 목적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

    답 확인하기

    리팩토링의 목적은 프로그램을 쉽게 이해하고 수정하여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3. 요구사항 확인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①, ②)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 () 요구사항은 시스템이 무엇을 하는지, 어떤 기능을 하는지 등 사용자가 시스템을 통해 제공 받기를 원하는 기능이나 시스템이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 () 요구사항은 품질이나 제약사항과 관련된 요구사항으로, 시스템의 장비 구성, 성능, 인터페이스, 테스트, 보안 등의 요구사항을 말한다.
    답 확인하기

    ① 기능

    ② 비기능

  4.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에 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 다이어그램은 UML 다이어그램 중 객체(Object)들을 ()로 추상화하여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으로 대표적인 구조적 다이어그램이다. ()는 각각의 객체들이 갖는 속성과 메소드를 표현한 것으로 3개의 구획으로 나눠, 이름, 속성, 메소드를 표기한다.

    답 확인하기

    클래스 (Class)

  5. UML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① ~ ③)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UML은 시스템 분석, 설계, 구현 등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시스템 개발자와 고객 또는 개발자 상호 간의 의사사통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표준화한 대표적인 객체지향 모델링 언어로, 사물, (), 다이어그램으로 이루어져있다.

    • ()는 사물과 사물 사이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연관, 집합, 포함, 일반화 등 다양한 형태의 ()가 존재한다.
    • ()는 UML에 표현되는 사물의 하나로, 객체가 갖는 속성과 동작을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표현하며, 직사각형 안에 이름, 속성, 동작을 표기한다.
    • ()는 ()와 같은 UML에 표현되는 사물의 하나로, ()나 컴포넌트의 동작을 모아 놓은 것이며, 외부적으로 가시화되는 행동을 표현한다.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없으며, () 구현을 위한 () 또는 컴포넌트와 함께 사용된다.
    답 확인하기

    ① 관계 (Relationship)

    ② 클래스 (Class)

    ③ 인터페이스 (Interface)

  6. UML의 관계(Relationships)에 관한 다음 설명에서 각 번호(①, ②)에 들어갈 알맞는 용어를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

    관계(Relationships)는 사물과 사물 사이의 연관성을 표현한 것이다.

    ① - 하나의 사물이 다른 사물에 포함되어 있는 관계로, 전체와 부분으로 구분되어지며 서로 독립적이다.

    ② - 상위 모듈이 하위 모듈보다 더 일반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하위 모듈이 상위 모듈보다 더 구체적인 개념을 가진다.

    <보기>

    • Association• Aggregation• Composition• Generalization

    • Dependency• Realization

    답 확인하기

    ① Aggregation

    ② Generalization

  7. UML을 이용한 다이어그램 중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다이어그램을 쓰시오.

    0

    답 확인하기

    패키지 다이어그램 (Package Diagram)

  8. LOC 기법에 의하여 예측된 총 라인 수가 30,000라인, 개발에 참여할 프로그래머가 5명, 프로그래머들의 평균 생산성이 월간 300라인일 때,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을 계산식과 함께 쓰시오.

    답 확인하기

    계산식: (30,000 / 300) / 5 = 20

    답: 20개월

    LOC 기법에서 개발 기간은 노력(인월) / 투입 인원이고, 노력(인월)은 LOC(총 라인 수) / 1인당 월 평균 생산 코드 라인 수이므로 (LOC / 1인당 월평균 생산 코드 라인 수) / 투입 인원에 값을 대입하여 답을 구할 수 있음

  9.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Schema)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

    답 확인하기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이다.

  10.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① ~ ③)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1. ():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데이터를 디스크 등의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파일의 저장 구조 및 액세스 경로를 결정하며, 테이블 정의서 및 명세서가 산출된다.
    2. ():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으로, 개념 스키마 모델링과 트랜잭션 모델링을 수행하며, 요구 조건 명세를 E-R 다이어그램으로 작성한다.
    3. (): 현실의 자료를 특정 DBMS가 지원하는 자료구조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트랜잭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정규화를 통해 스키마를 평가 및 정제한다.
    답 확인하기

    ① 물리적 설계

    ② 개념적 설계

    ② 논리적 설계

  11. 다음은 데이터베이스 구축까지의 과정을 나열한 것이다. 괄호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flowchart LR
        1["요구 분석"]
        2["(&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3["(&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4["(&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5["구현"]
        1 --> 2 --> 3 --> 4 --> 5
    
    답 확인하기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12.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①, ②)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1. ()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로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기본 도구에 해당한다.
    2. ()는 논리적으로 표현된 객체 타입들 간의 관계로서 데이터의 구성 및 정적 성질을 표현한다.
    3. 제약 조건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 조건을 의미한다.
    답 확인하기

    ① 연산 (Operation)

    ② 구조 (Structure)

  13. 다음 테이블에서 카디널리티(Cardinality)와 디그리(Degree)를 구하시오.

    회원

    ID이름거주지신청강의
    191-SR05백영헌마포구E01
    024-RU09차수인관악구S03
    181-SQ03허채빈서대문구E02
    059-RL08윤지호광진구S03
    029-SX07배서희서대문구E02
    답 확인하기

    카디널리티 (Cardinality): 5

    디그리 (Degree): 4

  14. 다음 E-R 다이어그램을 참고하여 괄호(① ~ ⑤)의 설명에 적합한 요소를 찾아 기호(㉠ ~ ㉤)

    1

    • (): 관계 집합을 의미한다.
    • (): 관계 집합과 속성을 연결한다.
    • (): 개체 집합을 의미하며, 키로 사용되는 항목에는 밑줄을 표시한다.
    • (): 관계 집합의 속성을 의미한다.
    • (): 개체 집합과 관계 집합을 연결한다.
    답 확인하기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15. 키(Key)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①, ②)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키(Key)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튜플을 찾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때 기준이 되는 속성을 말한다.

    • 슈퍼키(Super Key)는 한 릴레이션 내에 있는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튜플에 대해 ()을 만족한다.
    • 후보키(Candidate Key)는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들 중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성들의 부분집합으로, ()과 ()을 만족하는 특징이 있다.
    답 확인하기

    ① 유일성 (Unique)

    ② 최소성 (Minimality)

  16. 관계대수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① ~ ⑤)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관계대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이다. 관계대수에 사용되는 연산은 다음과 같다.

    • 합집합(UNION)은 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합집합을 구하되, 결과로 생성된 릴레이션에서 중복되는 튜플은 제거되는 연산으로, 사용하는 기호는 ()이다.
    • 차집합(DIFFERENCE)은 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차집합을 구하는 연산으로, 사용하는 기호는 ()이다.
    • 교차곱(CARTESIAN PRODUCT)은 두 릴레이션에 있는 튜플들의 순서쌍을 구하는 연산으로, 사용하는 기호는 ()이다.
    • 프로젝트(PROJECT)는 주어진 릴레이션에서 속성 리스트(Attribute List)에 제시된 속성 값만을 추출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으로, 사용하는 기호는 ()이다.
    • 조인(JOIN)은 공통 속성을 중심으로 두 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으로, 사용하는 기호는 ()이다.
    답 확인하기

    ① ⋃

    ② −

    ③ ×

    ④ π

    ⑤ ⨝

  17.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관계대수 연산자의 기호를 쓰시오.

    릴레이션 A, B가 있을 때 릴레이션 B의 조건에 맞는 것들만 릴레이션 A에서 분리하여 프로젝션을 하는 연산이다.

    답 확인하기

    ÷

  18.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 ()은 관계 데이터의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관계 데이터 모델의 제안자인 코드(E. F. Codd)가 수학의 술어 해석(Predicate Calculus)에 기반을 두고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제안했다.
    • 원하는 정보가 무엇이라는 것만 정의하는 비절차적 특성을 지니며, 원하는 정보를 정의할 때 계산 수식을 사용한다.
    • 튜플 해석식을 사용하는 튜플 ()과 도메인 해석식을 사용하는 도메인 ()으로 구분된다.
    답 확인하기

    관계해석 (Relational Calculus)

  19. 데이터의 중복으로 인해 테이블 조작 시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을 이상(Anomaly)이라고 한다. 이상 중 삭제 이상(Deletion Anomaly)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

    답 확인하기

    테이블에서 튜플을 삭제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는 값들도 함께 삭제되는 현상이다.

  20. 데이터베이스의 이상(Anomaly)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

    답 확인하기

    삽입 이상(Insertion Anomaly), 삭제 이상(Deletion Anomaly), 갱신 이상(Update Anomaly)

  21. 함수적 종속(Functional Dependency)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① ~ ③)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보기>에서 찾아 기호(㉠ ~㉧)로 쓰시오. (단, 테이블 <R>의 속성 ‘학생’과 ‘학과’의 밑줄은 키(Key)임을 의미한다.)

    <R>

    학생학과성적학년
    이순신컴퓨터공학A+2
    이순신전기공학B2
    유관순경제학B+1
    강감찬문예창작C3
    강감찬한국사C+3
    홍길동영문학B4
    • 테이블 <R>에서 ‘성적’은 기본키인 {학생, 학과}에 대해 () Functional Dependency이다.
    • 테이블 <R>에서 ‘학년’은 기본키인 {학생, 학과} 중 ‘학생’만으로 식별이 가능하므로 기본키에 대해 () Functional Dependency이다.
    • 임의의 테이블에 속성 A, B, C가 있을 때, A → B이고 B → C일 때 A → C인 관계는 () Functional Dependency이다.

    <보기>

    ㉠ Hybrid㉡ Multi Valued㉢ Transitive㉣ Full

    ㉤ Defined㉥ Natural㉦ Relational㉧ Partial

    답 확인하기

    ① - ㉣

    ② - ㉧

    ③ - ㉢

  22.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답을 쓰시오.

    테이블을 만들 때는 이상(Anomaly)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들의 중복성 및 종속성을 배제하는 정규화를 수행한다. 아래 그림은 부분 함수적 종속을 제거하여 제 () 정규형을 만드는 과정이다.

    <Table R>

    A(Key)B(Key)CD
    A3451001SeoulPmre
    D3471001BusanPreo
    A2101007GwangjuCiqen
    A3451007SeoulEsto
    B2301007DaeguLoid
    D3471201BusanDrag

    <Table R>의 함수적 종속 관계

    A, B → C, D

    A → C

    <Table R1>

    A(Key)B(Key)D
    A3451001Pmre
    D3471001Preo
    A2101007Ciqen
    A3451007Esto
    B2301007Loid
    D3471201Drag

    <Table R2>

    A(Key)C
    A345Seoul
    D347Busan
    A210Gwangju
    A345Seoul
    B230Daegu
    D347Busan

    <Table R1>의 경우, C는 Key에 해당하는 A와 B 중 A에만 종속되는 부분 함수적 종속이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Table R1>에서 C를 분리하여 <Table R1>과 <Table R2>로 만들면 제 () 정규형에 해당하는 테이블이 완성된다.

    답 확인하기

    2

  23.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발 및 운영의 편의성 등을 높이기 위해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을 의도적으로 통합, 중복, 분리하여 정규화 원칙을 위배하는 행위를 가리키는 용어를 쓰시오.

    답 확인하기

    반정규화 or 비정규화 (Denormalization)

  24. 데이터베이스에서 비정규화(Denormalization)의 개념을 서술하시오.

    답 확인하기

    비정규화는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을 통합, 중복, 분리하는 과정으로, 의도적으로 정규화 원칙을 위배하는 행위이다.

  25. 데이터베이스의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트랜잭션(Transaction)의 특정 중 원자성(Atomicity)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

    답 확인하기

    원자성은 트랜잭션의 연산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도록 완료되든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도록 복구되어야 한다는 특성을 의미한다.

  26. 다음은 트랜잭션의 특징이다. 괄호(①, ②)에 들어갈 알맞은 특징을 쓰시오.

    트랜잭션특징
    ()트랜잭션의 연산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도록 완료(Commit)되든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도록 복구(Rollback)되어야 한다. (All or Nothing)
    일관성트랜잭션이 그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언제나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변환한다.
    ()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병행 실행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트랜잭션 실행 중에 다른 트랜잭션의 연산이 끼어들 수 없다.
    지속성성공적으로 완료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시스템이 고장나더라도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답 확인하기

    ① 원자성 (Atomicity)

    ② 독립성 (Isolation)

  27. 다음 설명에서 괄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파일의 구조는 파일을 구성하는 레코드들이 보조기억장치에 편성되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차, (), 해싱으로 구분한다. () 파일 구조는 <값, 주소> 쌍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구조를 활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자기 디스크에서 주로 활용된다.

    답 확인하기

    색인 (Index)

  28. 시스템 관리와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이 의미하는 용어를 쓰시오.

    A는 한국 IT 보안 관제실에서 근무하게 되었다. A는 서비스 운용 중 외부 공격으로 인한 서버다운, 자연재해, 시스템 장애 등의 비상 상황에도 고객 응대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구축한 시스템을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이 용어는 위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사태 또는 업무중단 시점부터 업무가 복구되어 다시 정상 가동 될 떄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답 확인하기

    RTO (목표복구시간)

  29. 데이터베이스 보안에 관련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를 쓰시오.

    접근통제는 데이터가 저장된 객체와 이를 사용하려는 주체 사이의 정보 흐름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 통제에 관한 기술 중 ()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접근 권한을 보여하여 제어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소유자가 접근통제 권한을 지정하고 제어한다. 객체를 생성한 사용자가 생성된 객체에 대한 모든 권한을 부여받고, 부여된 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허가할 수도 있다.

    답 확인하기

    DAC (임의 접근통제)

  3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DB의 트랜잭션 연산을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

    DBMS는 데이터베이스에 치명적인 손실이 발생했을 때 이를 복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내용이나 이용 상황 등 상태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한 로그를 생성한다.

    • (): 데이터베이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디스크에 저장된 로그를 분석하여 트랜잭션의 시작(start)과 완료(commit)에 대한 기록이 있는 트랜잭션들의 작업을 재작업한다. 즉, 로그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항목에 대해 이전 값을 이후 값으로 변경하는 연산이다.
    • (): 데이터베이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디스크에 저장된 로그를 분석하여 트랜잭션의 시작을 나타내는 ‘start’는 있지만 완료를 나타내는 ‘commit’ 기록이 없는 트랜잭션들이 작업한 내용들을 모두 취소한다. 즉, 로그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항목에 대해 이후 값을 이전 값으로 변경한다.

    <보기>

    • ROLLBACK• UNDO• LOG• COMMIT

    • REDO• RECOVERY• BACKUP• CHECK

    답 확인하기

    ① REDO

    ② UNDO

  31. SW 인터페이스 구현에 관련된 다음 설명에서 괄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웹 페이지의 기본 형식인 HTML의 문법이 각 웹 브라우저에서 상호 호환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와 SGML의 복잡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은 다른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이다. 원활한 데이터의 연계를 위해 송•수신 시스템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도록 형태를 정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용어특징
    유니코드 문자 (Unicode Text)텍스트 데이터 형식으로 유니코드를 사용하여 전 세계 언어를 지원한다.
    () 파서 (Parser)대다수의 웹 브라우저가 해석을 위한 번역기(Parser)를 내장하고 있다.
    마크업(Markup)과 내용(Content)• () 문서의 문자들은 마크업과 내용으로 구분된다.
    • 일반적으로 마크업은 ‘<’로 시작하여 ‘>’로 끝나는 태그(Tag)를 의미하고, 그 외의 문자열은 내용에 해당한다.
    엘리먼트 (Element)마크업과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요소를 의미한다.
    답 확인하기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32. 통합 구현과 관련하여 다음 설명의 괄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는 HTTP, HTTPS, SMTP 등을 사용하여 xml 기반의 메시지를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로, () envelope, 헤더(header), 바디(body) 등이 추가된 xml 문서이다. ()는 복잡하고 무거운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 보다는 restful 프로토콜을 이용하기도 한다.

    답 확인하기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33. 웹 서비스(Web Service)와 관련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를 쓰시오.

    웹 서비스와 관련된 서식이나 프로토콜 등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게시하기 위한 언어로, XML로 작성되며 UDDI의 기초가 된다. SOAP, XML 스키마와 결합하여 인터넷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클라이언트는 이것을 통해 서버에서 어떠한 조작이 가능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답 확인하기

    WSDL (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

  34. 럼바우(Rumbaugh)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각 지문(① ~ ③)에 해당하는 모델링을 <보기>에서 찾아 기호(㉠ ~ ㉧)로 쓰시오.

    ① 다수의 프로세스들 간의 자료 흐름을 중심으로 처리 과정을 표현한 모델링

    [예] 자료흐름도 (DFD)

    ②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객체들 간의 제어 흐름, 상호 작용, 동작 순서 등의 동적인 행위를 표현하는 모델링

    [예] 상태 변화도 (STD), 사건 추적도

    ③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객체를 찾아내어 속성과 연산 식별 및 객체들 간의 관계를 규정하여 표시하는 모델링

    [예] E-R 다이어그램 (ERD)

    <보기>

    ㉠ Operation㉡ Sequence㉢ Information㉣ Transaction

    ㉤ Function㉥ I/O㉦ Dynamic㉧ Cause-Effect

    답 확인하기

    ① - ㉤

    ② - ㉦

    ③ - ㉢

  35. 객체지향에 대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를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

    •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인터페이스와 의존 관계를 맺거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객체지향 설계 원칙 중의 하나이다.
    • 예를 들어 프린터, 팩스, 복사 기능을 가진 복합기의 경우 3가지 기능을 모두 가진 범용 인터페이스보다는 프린터, 팩스, 복사 각각의 인터페이스로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기능 변경으로 인해 다른 기능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보기>

    • SRP• SOLID• OCP• LSP

    • ISP• DIP• OTP• PNP

    답 확인하기

    ISP

  36. 결합도(Coupling)의 종류 중 단순 처리 대상인 데이터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제어 요소가 전달되는 경우의 결합도를 영문으로 쓰시오.

    답 확인하기

    Control Coupling

  37.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괄호(① ~ ③)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보기>에서 찾아 기호(㉠ ㉡ ㉢ ㉣ ㉤ ㉥)로 쓰시오.

    1. ()는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데이터, 지역 변수 등을 직접 참조하거나 수정할 때의 결합도이다.
    2. ()는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배열이나 레코드 등의 자료 구조가 전달될 때의 결합도이다.
    3. ()는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파라미터가 아닌 모듈 밖에 선언된 전역 변수를 사용하여 전역 변수를 갱신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때의 결합도이다.

    <보기>

    ㉠ 자료 결합도㉡ 스탬프 결합도㉢ 제어 결합도㉣ 공통 결합도

    ㉤ 내용 결합도㉥ 외부 결합도

    답 확인하기

    ① - ㉤

    ② - ㉡

    ③ - ㉣

  38. 소프트웨어 패키징이란, 모듈별로 생성한 실행 파일들을 묶어 배포용 설치 파일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소스 코드는 향후 관리를 고려하여 모듈화하여 패키징한다. 모듈화는 모듈 간 ()의 최소화와 모듈 내 요소들의 ()를 최대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괄호(①, ②)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답 확인하기

    ① 결합도 (Coupling)

    ② 응집도 (Cohension)

  39. 모듈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각 지문(① ~ ③)에 해당하는 응집도(Cohension)를 <보기>에서 찾아 기호(㉠ ~ ㉦)로 쓰시오.

    ① 내부의 요소들이 기능적으로 연관성은 없으나, 순차적으로 실행될 때의 응집도

    ②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만 동일한 입력과 출력을 사용할 때의 응집도

    ③ 하나의 기능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거나 연관되어 있을 때의 응집도

    <보기>

    ㉠ 기능적 응집도㉡ 순차적 응집도㉢ 교환적 응집도㉣ 절차적 응집도

    ㉤ 시간적 응집도㉥ 논리적 응집도㉦ 우연적 응집도

    답 확인하기

    ① - ㉣

    ② - ㉢

    ③ - ㉠

  40. 다음의 모듈 관계를 표현한 시스템 구조도를 참고하여 모듈 F의 팬인(Fan-In)과 팬아웃(Fan-Out)을 구하시오.

    flowchart TB
        A
        A-->B
        A-->C
        A-->D
        B-->E
        B-->F
        C-->F
        D-->F
        F-->G
        F-->H
    
    답 확인하기

    팬인(Fan-In): 3

    팬아웃(Fan-Out): 2

    [ 해설 ]

    • 팬인(Fan-In): A는 0, B • C • D • E • G • H는 1, F는 3
    • 팬아웃(Fan-Out): E • G • H는 0, C • D는 1, B • F는 2, A는 3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