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4과목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1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이론 - 소프트웨어 개발 절차, 변수, 연산자 정리
소프트웨어 개발 절차
1. 순서 정리
- 문제 분석
- 기능 결정
- 설계
- 구현 (코딩)
- 테스트/디버스
- 유지관리
변수
1. 변수명 작성 규칙
- 영문자, 숫자,
_
(under bar)를 사용할 수 있음 - 첫 글자는 영문자나
_
로 시작해야 하며, 숫자는 올 수 없음 - 글자 수에 제한이 없음
- 공백이나
*
,+
,-
,/
등의 특수문자 사용 불가 - 대/소문자 구분
- 예약어를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음 (
for
,while
,short
등) - 변수 선언 시 문장 끝에 반드시
;
(세미콜론)을 붙여야 함 - 헝가리안 표기법 사용
2. 예약어
-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미 용도가 정해져 있는 단어로, 변수 이름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 불가
구분 | 예약어 |
---|---|
반복 (제어문) | do , for , while |
선택 (제어문) | case , default , else , if , switch |
분기 (제어문) | break , continue , goto , return |
자료형 | char , double , enum , float , int , long , short , signed struct , typedef , union , unsigned , void |
기억 클래스 | auto (메모리), extern (레지스터), register , static (메모리-데이터) |
기타 | const , sizeof , volatile |
연산자
- C언어는 연산자가 많아서 우선순위가 굉장히 중요
- 연산자에서 가장 중요한건 결과의 타입이 무엇으로 나오냐
1. 관계 연산자
- 두 수의 관계를 비교하여 참(
true
) 또는 거짓(false
)을 결과로 얻는 연산자 - 거짓은
0
, 참은1
로 사용되지만,0
이외의 모든 숫자도 참으로 간주됨
연산자 | 의미 |
---|---|
== | 같음 |
!= | 같지 않음 |
> | 큼 (左) |
< | 작음 (左) |
>= | 크거나(左) 같음 |
<= | 작거나(左) 같음 |
2. 비트 연산자
- 비트 연산자는 비트별(0, 1)로 연산하여 결과를 얻는 연산자
연산자 | 의미 | 비고 |
---|---|---|
& | and | 모든 비트가 1일때만 1 |
^ | xor | 모든 비트가 같으면 0, 하나라도 다르면 1 |
| | or | 모든 비트 중 한 비트라도 1이면 1 |
~ | not | 각 비트의 부정 (0 → 1 / 1 → 0) |
<< | 왼쪽 시프트 |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 |
>> | 오른쪽 시프트 |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 |
3. 논리 연산자
연산자 | 의미 | 비고 |
---|---|---|
! | not | 부정 |
&& | and | 모두 참이면 true |
|| | or | 하나라도 참이면 true |
4. 대입 연산자
- 연산 후 결과를 대입하는 연산식을 간략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대입 연산자를 제공
- 산술, 관계, 비트, 논리 연산제에 모두 적용 가능
연산자 | 예시 | 의미 |
---|---|---|
+= | a += 1 | a = a + 1 |
-= | a -= 1 | a = a - 1 |
*= | a *= 1 | a = a * 1 |
/= | a /= 1 | a = a / 1 |
%= | a %= 1 | a = a % 1 |
<<= | a «= 1 | a = a « 1 |
>>= | a »= 1 | a = a » 1 |
5. 조건 연산자
- 조건 연산자는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수식을 수행
- 형식
조건 ? 수식1(true) : 수식2(false)
조건
의 수식이 참이면수식1
을, 거짓이면수식2
을 실행
6. 연산자의 우선순위
- 단항 연산자 (
!
,~
,++
,--
,sizeof
) - 이항 연산자
- 산술 연산자 (
*
,/
,%
,+
,-
) - 시프트 연산자 (
<<
,>>
) - 관계 연산자 (
<
,<=
,=>
,>
) - 비트 연산자 (
==
,!=
) - 논리 연산자 (
&
,^
,|
)
- 산술 연산자 (
- 조건 연산자 (
a ? true : false
) - 대입 연산자 (
=
,+=
,-=
,*=
,%=
,<<=
,>>=
) - 순서 연산자 (
,
)
참고 사이트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